본문 바로가기
쌀, 잡곡이야기

늘보리 찰보리 쌀보리 보리의 종류 및 차이 할맥 압맥

by 스깅잉 2022. 6. 23.
반응형

보리의 종류가 많아서
뭘 드실 지 모르겠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알이 자연스레 떨어저 분리된 쌀보리

겨가 붙어있어 도정을 거친 늘보리

찰기가 있는 찰보리

보다 부드럽게 먹을 수 있도록 쪄내어 누른 압맥

반으로 쪼개어 가공한 할맥

 

단단하고 소화가 어려운 보리를

부드럽게 먹을 수 있도록 누르거나

쪼개어 가공한것이 압맥과 할맥입니다.

 

 

보리마다 맛과 영양에 차이가 있고

맛과 식감 차이가 있을까요??

또한 가공한 보리는 영양분 손실이 있을까요??

 

 


1. 쌀보리

 

보리쌀은 보리에서 알이 잘 분리되어
왕겨가 떨어져 나간 보리쌀로
껍질이 적어 비교적 부드러운 보리입니다.

모양은 둥글둥글 한 편입니다.

 

 

모든 보리에는 식이섬유가 많고

완전히 도정된 백미보다 당 흡수가 느려

당에 민감하신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잡곡입니다.

 

또한 쌀에는 부족한 비타민, 칼슘, 아연 등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보리 어떻게 먹을까요?

요즘에는 전기밥솥이 잘 나와서 잡곡 취사로도

맛있는 보리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엔 5:1로 드셔보시고 양을 차츰 늘려가세요.

소화가 어려우신 분들이나 거친 식감이

불편하신 분들은충분히 불린 후 지어주세요.


쌀과 함께 조금 끓여 드셔도 좋습니다.너무 오래 끓이는 경우 

밥의 단맛이 없어질 수 있어약 5분정도를 추천드립니다.


 

02. 찰보리

 

찰보리는 찰기가 있는 보리입니다.

찰기가 있기때문에 다른 보리에 비해 소화가

잘 되는 편 입니다.

 

또한 찰기가 있기때문에 다른 보리보다

굴러가는 식감이 덜하고 맛이 좋습니다.

 

 

 

찰보리, 이렇게 드셔보세요

 

찰보리 8: 쌀 2 비율로 지어보세요.

(너무 맛있는 보리밥집에서 알려주셨어요.

찰보리를 이용하고 쌀을 조금 혼합하신다고 하더라구요)

 

 

한번 삶거나 불려서 지어주시면 잘 퍼지고

고추장과 참기름을 넣어 먹으면

맛도 있고 건강도 챙길 수 있습니다.

 


 

03. 늘보리

 

보리밥에 많이 이용되는 보리로

꽁보리밥할때 가장 많이 쓰는 보리입니다.

 

찰기가 없어 겉돌기때문에

양념이 고루묻어 많이 사용됩니다.

 

 

늘보리는 찰보리, 쌀보리에 비해 약간 크기가 크고

종자에 따라 흰빛을 띄는것도 노란빛을 띄는것도 있습니다.

 

 

쌀보리에 비해 껍찔층이 남아있어 식이섬유가

가장 많고 밥을지었을때 약간 굴러다니며,

톡톡 거리는 식감이 많이 납니다.

 

 

찰기가 없는 보리이기때문에 당뇨로 보리를 드신다면
찰보리보단 늘보리를 추천드려요.

보든 보리는 흡수가 천천히 되어 당을 천천히 올려주지만
찰기가 있는 찰보리보다는 늘보리가 더 좋다고합니다.

그치만 소화가 어려우신 분들이라면 
늘보리가 소화가 어려울 수 있으니 참고 해 주세요.


 

04. 압맥

 

압맥은 보리를 한번 쪄내고 눌러서 말린 제품입니다.
부드럽게 섭취하기 위해 불리거나 삶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쌀과 함께 세척하여 취사해도 됩니다.

밥을 지으면 다시 오동통한 보리가 됩니다.
압맥에는 찰보리로 눌렀냐 늘보리로 눌렀냐에 따라
늘보리압맥/찰보리 압맥으로 판매합니다.

 

 

쌀과 같이 씻어 바로 조리하면 되기때문에

보리의 불리거나 삶는 과정이 귀찮거나

소화가 잘 안되어 불편하신 분들 혹은

아이들이 보리의 식감을 불편해한다면

압맥을 추천드려요

 

 

압맥으로 가공을 해도 영양소의 파괴가 없으니 추천하는 압맥!


 

05. 할맥

할맥은 보리를 반으로 쪼갠 특허 받은 제품입니다.
일반 보리와 동일하게 식이섬유, 필수아미노산비타민이 풍부합니다.
할맥은 조각이 작아 식감이 부드러워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혈당에 가장 좋은 보리는 늘보리이며
소화가 어려우신 분들은 찰기가 있는
찰보리를 추천드립니다.

압맥이나 할맥 등 가공된 보리로 드시면
영양소는 그대로 더욱 부드러운 보리를
드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